본문 바로가기
인생은 복리다

국내 상장 메타버스 ETF 4종 비교 및 소개

by 컴파운더 2021. 12. 27.
반응형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앞선 글에서 설명드렸지만 간단히 다시 설명드리자면, 메타버스는 가상을 뜻하는 META와 현실을 뜻하는 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 문화,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3차원 가상세계를 말합니다. 기존의 가상현실보다 한 단계 더 진보된 개념으로, 캐릭터를 활용해 게임이나 가상현실을 즐기는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실과 같은 문화, 사회적 활동을 한다는데 다른 점이 있습니다. 제가 생각할 때 메타버스를 떠올리면 가장 대표하는 기업으로 로블록스와, 네이버의 제페토, 구 페이스북인 메타 플랫폼스가 있습니다. 이런 메타버스를 대표하는 기업을 여러 개 묶어 한번에 투자할 수 있는 ETF가 출시되어 이번에 소개드리려 합니다. 

 

국내 상장 메타버스 ETF 4종

우선 최근 국내에 메타버스가 메가트렌드로 떠오르며 메타버스와 관련된 ETF가 신규로 출시되었습니다. KB자산운용, 삼성 자산운용, 미래에셋 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등 4개사에서 메타버스 ETF가 출시되었습니다.

 

 이중 KB자산운용은 KBSTAR 글로벌메타버스Moorgate 라는 이름으로 출시하였는데 KB스타의 글로벌 메타버스 무어게이트 ETF는 패시브 ETF이고, 삼성, 미래에셋, 한국투자신탁 3개사의 ETF는 액티브 ETF로 출시되었습니다. 

 

1. KBSTAR 글로벌메타버스 Moorgate

 

http://www.kbstaretf.com/prod/finderDetail/44C5

 

KBSTAR 글로벌메타버스Moorgate - KBSTAR ETF

KBSTAR 글로벌메타버스Moorgate44C5플랫폼 오브 플랫폼이 될 메타버스

www.kbstaretf.com

 

 패시브 ETF의 경우 해당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예를 들어 TIGER 미국 나스닥 100, 코덱스 코스피 등이 있고, KBSTAR 글로벌메타버스 Moorgate는 Global Metaverse Index(원화 환산지수)를 추종하도록 설계되어있고, Global Metaverse Index는 파운트 투자자문에서 개발하고, Moorgate에서 산출 및 발표하는 지수로 전 세계 주요 국가의 상장종목을 대상으로 필터링해 메타버스 관련 회사를 선별한 후, 선별된 회사의 향후 1년 매출액을 예측하여 메타버스 관련 매출액이 50% 이상일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들을 시가총액과 메타버스 관련 매출액 비중을 동시에 고려하여 수정 시가총액을 산출하여 가중방식을 통해 상위 50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종목명 : KBSTAR 글로벌메타버스 Moorgate

종목 코드 : 411720 

현재 주가 : 10,315원

운용규모 : 113억

운용수수료 : 0.500%

상장일 : 2021년 12월 22일

분배금 지급일 : 1, 4, 7, 10월 마지막 영업일

 

KBSTAR 글로벌메타버스 Moorgate 업종별 비중
KBSTAR 글로벌메타버스 Moorgate 업종별 비중

 

 

 

KBSTAR 글로벌메타버스 Moorgate
KBSTAR 글로벌메타버스 Moorgate

 대표종목으로 애플, 퀄컴, 브로드컴, AMD,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스노우 플레이크, 메타 플랫폼스, 오토데스크, 알파벳 등이 있으며 국내 주식 중 펄어비스와 카카오게임즈, 넷마블, 엔씨소프트가 들어가 있습니다. 

 

2. KODEX 미국메타버스나스닥 액티브

 

http://www.kodex.com/product_view.do?fId=2ETFF9

 

KODEX

코덱스 공식홈페이지, 증권사 리포트모음, 대한민국 ETF 시장의 선도자, KODEX는 국내 시장을 뛰어넘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ETF 운용사를 지향합니다.

www.kodex.com

 

종목명 : KODEX 미국메타버스나스닥 액티브

종목 코드 : 411420

현재 주가 : 10,075

운용규모 : 1068억

운용수수료 : 0.500%

상장일 : 2021년 12월 22일

분배금 지급일 : 1, 4, 7, 10월 마지막 영업일

 

비교지수 : Nasdaq Yewno Metaverse Index

Nasdaq Yewno Metaverse Index는 미국 거래소에 상장된 종목(ADR포함)중 기초 요건을 충족한 종목을 유니버스로 하며, 메타버스 관련 키워드에 노출되어있는 기업들을 Yewno의 AI 엔진을 이용해 점수화하여 40개 종목을 선정한 지수이다.

 

상품정보 : 

1. 미국 대표 메타버스 기업들에 투자하는 ETF

2. 알파를 추구하며 적극적으로 운용하는 '액티브'ETF로 실시간 거래가 가능한 ETF의 특성과 투자종목 및 비중을 적극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액티브펀드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액티브 ETF는 비교지수와의 상관계수 0.7 이상을 유지하며 적극적으로 알파를 추구할 수 있다.

 

KODEX 미국메타버스나스닥 액티브
KODEX 미국메타버스나스닥 액티브

 

 

 

 

3. TIGER 글로벌메타버스액티브

 

투자설명서를 바로 링크에 넣으려니 안 나오네요

https://www.tigeretf.com/ko/reference/list.do

 

상품별 자료조회

ETF 상품별 분배금, 구성종목 등의 자료를 확인해보세요.

www.tigeretf.com

 

이곳에 들어가셔서 TIGER 글로벌메타버스액티브를 검색하시면 투자설명서가 나옵니다.

 

종목명 : TIGER 글로벌메타버스액티브

종목 코드 : 412770 

현재 주가 : 10,265원

운용규모 : 1037억

운용수수료 : 0.790%

상장일 : 2021년 12월 22일

분배금 지급일 : 1, 4, 7, 10월 마지막 영업일

 

비교지수 : Indxx Global Metaverse지수

구성종목 : 1) IP&콘텐츠(AR, VR 관련 콘텐츠 또는 소프트웨어 등), 2) 플랫폼, 3) 페이먼트, 4) 옵틱스 & 디스플레이, 5) 반도체, 하드웨어, 5G 관련 매출이 전체 매출 비중의 50% 이상 차지하는 기업, 시가총액 상위 50 종목

산출방법 : 버킷1(관련 매출 50~70%), 버킷2(관련 매출 70~90%), 버킷3(관련매출 90% 이상)을 70%로 편입하며, 각 버킷 내 종목들은 동일가중으로 산출

정기변경 : 연 1회 

발표일 및 기준지수 : 2017년 6월 30일 = 1000pt

 

운용목표 : 순 자산가치의 변화가 Indxx Global Metaverse 지수 변화를 초과하도록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운용방법 : 메타버스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 산업으로 사용자 경험, 생태계 플랫폼, IT 인프라를 핵심 테마로 하여 유니버스를 구성하며 테마 적합도, 산업 성장성, 시장 점유율, 수익성/안정성, 밸류에이션 등을 감안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아래는 테마별 세부 섹터에 대한 예시이며, 향후 거시 경제 및 시장 환경 변화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TIGER 글로벌메타버스액티브
TIGER 글로벌메타버스액티브

 

 앞선 두 ETF의 경우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나스닥 상위종목이 보유비중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던 것에 비해 TIGER 글로벌메타버스액티브의 경우 엔비디아, 유니티, 마이크로소프트, AMD, TSMC, SONY 등이 상위권에 있는 것이 인상적이다. 또한 다른 ETF와 다르게 운용수수료가 0.790%로 상대적으로 비싸다.

 

4. 네비게이터 글로벌메타버스테크 액티브

투자설명서

 

http://www.kindexetf.com/main/popNavation.etf?popNum=3&fundCD=9002N&fileType=2

 

파일다운로드 | 한국투자신탁운용 KINDEX

 

www.kindexetf.com

 

종목명 : 네비게이터 글로벌메타버스테크 액티브

종목 코드 : 411050

현재 주가 : 10,310원

운용규모 : 227억

운용수수료 : 0.500%

상장일 : 2021년 12월 22일

분배금 지급일 : 1, 4, 7, 10월 마지막 영업일

 

비교지수 : Bloomberg Global Digital Media&Tech Select Price Return Index

 

구성종목 : 1) 메타버스 생태계의 근본, 글로벌 메타버스 인프라 기업에 주목. 메타버스는 단순한 콘텐츠 개념에 국한되지 않는다. 메타버스 생태계를 이루기 위한 근본 기술력을 지닌 글로벌 테크 기업에 주목. 2) 메타버스를 이끄는 5가지 핵심 영역에 투자. HMD(AR/VR), 하드웨어 인프라, 소프트웨어 인프라, 3D 모델링 & 시뮬레이션, 콘텐츠 미디어 플랫폼 3) 메타버스 시장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ETF. 한국투자신탁운용 IT섹터 애널리스트/펀드매니저들의 메타버스 기술 이해를 바탕으로 장기적 성장 잠재력을 지닌 글로벌 기업 선별.

 

운용목표 : Bloomberg Index services Limited가 산출 발표하는 "Bloomberg Global Digital Media&Tech Select Price Return Index"를 비교지수로 하여 비교지수 대비 초과성과를 목표로 투자신탁 재산을 운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네비게이터 글로벌메타버스테크 액티브
네비게이터 글로벌메타버스테크 액티브

 

 

 오늘은 국내 상장 글로벌 메타버스 ETF 4종을 비교해봤습니다. 개인적으로 액티브 ETF보다 패시브 ETF를 더 좋아하는데, KBSTAR 글로벌메타버스 Moorgate 만 패시브 ETF이고, 나머지 3종은 액티브 ETF였습니다. 수수료는 미래에셋대우의 TIGER 글로벌메타버스액티브의 경우 0.790%로 다른 ETF보다 비쌌으나 구성종목에 있어 엔비디아, 유니티 등의 종목이 상위권에 있는 걸 보니 특색 있는 ETF라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만약 저에게 4가지 ETF 중 무엇에 투자할 것이냐고 묻는다면, 개인적으로 나스닥 100 ETF를 가지고 있으므로 TIGER 글로벌메타버스액티브에 한 표를 주고 싶습니다. 근데 역시 액티브 펀드라 그런가 수수료가 비싼 게 영 걸리네요. 하지만, 기왕 액티브펀드를 투자할 것이라면 특색 있는 게 나을 거 같습니다. 

 

 오늘도 컴파운더의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모두들 즐거운 저녁 보내시길 바랍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반응형

댓글0